라벨이 Leonardo da Vinci인 게시물 표시

레오나르도 다빈치 비트루비안 맨(비트루비아스적 인간), 인체비례도

이미지
이탈리아 르네상스 예술을 상징하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트루비안 맨은 펜과 잉크로 그려진 르네상스를 대변하는 이미지 중 하나이자 과학과 예술이 어떻게 만나야 아름다운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시입니다. 고대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건축 10서라는 저서를 통해서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균형을 갖춘 인간의 몸을 연구해야 한다. 인체의 비례를 건축에 적용하는 원칙으로 신전 건축에도 사용해야 한다. 동시에 사람을 원과 정사각형 안에 꼭 맞게 들어가도록 그릴 수 있다'라고 주장합니다. 이에 영감을 받은 다빈치는 다음과 같은 그림을 남깁니다. 비트루비안 맨 비트루비안 맨, 레오나르도 다빈치, 아카데미아 미술관   "혹자는 섬세한 선과 남자의 곱슬머리가 인간을 신성함과 연관 지어 표현했다는 평가를 합니다. 이는 다빈치 경력초기작품 '수태고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설명합니다." 수태고지, 레오나르도 다빈치. 위키피디아 인체는 비례의 모범이다 고대서부터 면적이 서로 같은 원과 정사각형을 만드는 것이 오랜 숙원이었고 이것은 π(파이)의 본질적인 특성 때문에 당시로서는 불가능했습니다. 고대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인체의 중심이 배꼽에 있다고 믿었고 배꼽을 중심으로 원을 그릴 수 있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이에 영감을 받아 인체의 중심이 배꼽에 있는 동시에 원과 정사각형의 중심에 있는 그림을 남깁니다.  동시에 다빈치는 기하학적적 관점에서 머리의 길이는 8등신, 키의 1/8이며, 어깨 폭은 키의 1/4이다라며 본인의 인체 비례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인간을 작은 우주로 생각했던 동시에 인체의 팔 길이와 신장 사이에 일정한 비례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는 수많은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품에 영감을 주게 됩니다. 그림 a. 원의 넓이 공식 네오플라토니즘과 인간 비트루비안 맨은 네오플라토니즘에도 영향을 받았습니다. 네오플라토니즘(신플라톤주의)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파생된 것으로